통계지식/분석사례

[스크랩] 표안에 유의도 옆에 붙이는 별모양(asterisk; *)는 뭐예요?

정령치 홍 2007. 5. 1. 16:46

  유의도 옆에 붙이는 Asterisk(*) 유의수준을 의미합니다. 여러 번 말씀드렸듯이 일반적인 사회과학 논문은 p.<05 수준을 기준 유의수준으로 사용하죠. 이 외에도 p<.01, p<.001을 많이 사용합니다. Asterisk(*)는 유의수준과 같은 의미라 보시면 됩니다. Asterisk(*)가 1개이면 p<.05라는 뜻이구 2개(**)이면 p<.01, 3개(***)이면 p<.001의 의미입니다. 표안에 유의도를 쓰구 바로 유의수준을 붙이면 (ex> .008, p<.01) 좀 이상하지 않아요? 물론 처음부터 써 왔다면 이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공간도 많이 차지하는 등 경제성에서 떨어지죠. 그리하여 위와 의미에 의거하여 논문의 표 안에는 유의수준대신 Asterisk(*)를 붙이기로 했구 지금까지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 다만 Asterisk(*)를 윗첨자로 표기해야 하죠=^^=

그러니까 예를 들어 .013*, .009**  이 아닌 .013*, .009** 라구 표시하셔야 합니다.

대신 표 아래에 반드시 표 안에 쓰인 Asterisk(*)의 의미를 붙이죠. 위의 예에서 1개와 2개의 Asterisk(*)가 쓰였다면 

(유의수준: *=p<.05, **=p<.01) 라구 설명을 붙이죠*^^* 그 위치는 우측이나 좌측 정열을 합니다. 학과나 저널마다 다릅니다.

출처 : 조금씩 채워가는 논문 통계와 해석
글쓴이 : CreatiVSsam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