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및 제언(Summary, and Recommendation) 부문에서는 각 문제의 해결 방안을 단계별로 간략히 제시하게 된다. 또한 앞으로의 행동에 대한 제언도 하게 되나 이러한 결론이나 제언이 나오게 된 배경우에 대해서는 긴 설명 없이 간략한 표현을 사용하게 된다. 본론에서 얻어진 사실 발견 및 그 시사점을 간략히 요약하고 정리한다.
결론(Conclusion)은 어디까지나 본론에서 확인된 논거에 의거하여, 귀납적으로 얻어진 것이어야 한다. 얻어진 결론은 지나치게 침소방대하거나 비약시켜 기술해서는 안되며 객관적으로 증명된 사실만이 제시되어져야 한다. 분석한 자료는 거창한데 결론이 빈약하거나, 반대로 분석한 내용은 빈약한데 결론만 거창하다거나, 당연히 해야할 주장을 겸손하게 얼버무리는 태도 등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서론 부분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서론에서 언급된 이론 및 방법으로 서론에서 언급된 범위만큼 연구되어지며, 서론에서 밝힌 목적에 대한 결론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서론 부분에서부터 본론 부분를 거쳐 결론 부분에 이르는 논리가 명확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해명치 못한 문제가 있으면 그 문제를 언급해 두어(향후 연구 과제의 기술) 다른 후속 연구자들에게 연구 과제가 되도록 한다. 개선방안 또는 건의 사항이 있다고 생각되면, 개선 방안과 그 효과, 정책 건의 등의 시사를 조심스럽게 그리고 간략하게 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 본론의 연구 논의 중 중요한 결과를 지적하고 적절한 판단을 내린다.
㉡ 본론 전체를 요약하여 결론을 맺는다.
㉢ 다루지 못한 과제, 전망, 방향 제시 등을 한다.
㉣ 결론은 연구논문의 열매라 생각하고 간명하면서도 논리적으로 알찬 것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