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ARS 여론조사의 공천 문제점 보도자료 : (사)한국사회조사연구소 www.ksrc.or.kr ARS 여론조사를 통한 지방선거 공천의 문제점 지방자치선거가 가까워지면서 각 당마다 공천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당에서 지명하던 예전방식에서 공개경선으로 바뀌어가고, 경선방식도 당원대상의 제한 경선을 지양하고 여론조사를 통해 유권자들.. 통계 2007.05.21
[스크랩] 연구 요소 및 개념 1. 개념(concept) - 일정하게 관찰된 사실들에 대한 추상적 표현 즉, 관찰된 현상의 특정한 측면만을 표현하는 추상적인 관념을 용어 또는 기호로 표현한 것 1) 개념의 구비요건 ① 한정성 : 어떤 개념이라도 그것이 나타내는 사실 또는 현상을 명확히 한정적으로 특정화해서 나태내야 한다. ② 통일성 : 일.. 통계 2007.05.21
[스크랩] 척도의 종류와 의미 (1)명목수준의 측정과 명목척도 ①명목수준의 측정(nominal level measurement)은 측정대상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측정대상의 속성에 부호나 수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②즉 측정대상을 단순히 분류하거나 범주화(categorization)하는 것이다. ③이러한 수준의 측정을 수행하는 측정도구를 명목척도(nominal.. 통계 2007.05.21
[스크랩] 통계기초지식4: 표본추출에서의 오차 통계량은 오차를 품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통계량을 기술할 때는 항상 오차한계와 신뢰구간을 함께 말하곤 하죠=^^= 표본오차는 표본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 표본오차로 인해 전수조사와 다른 결과를 얻게 되죠. 이는 무선표집이나 표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줄일 수.. 통계 2007.05.01
[스크랩] 통계기초지식5: 비표본오차인 무응답을 다루는 방법 비표본오차 중 가장 큰 문제거리는 무응답입니다. 그럼 이 무응답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가중치를 주는 것입니다. 가중치를 주는 목적은 나이, 성별, 지역 등의 변수들이 모집단과 마치 비슷하게 표본에서도 분포된 것과 같은 결과를 얻는데 있습니다. 이러한 가중치는 편의를 .. 통계 2007.05.01
[스크랩] 통계기초지식7: 데이터 설명하기 데이터를 설명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그쵸? 데이터를 잘 설명하려면 먼저 그 데이터로 그래프를 한번 그려보세요. 그러면 분포가 시각화 될 것입니다. 시각화된 분포가 대칭인지 비대칭인지 한번 보세요. 대강적으로 볼 때 대칭인가요? 아님 비대칭? 대칭인가 아닌가에 따라 설명하는 방식을.. 통계 2007.05.01
[스크랩] 통계기초지식1: 데이터 생성 방법 통계 연구는 각 개체(생물이나 무생물)의 특성이라 말할 수 있는 변수(수학점수, 연령, 직업, 성별 등)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모두 수치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직업이나 성별 등이 이에 해당하죠. 관찰 연구는 연구자가 관찰 대상이나 대상이 속한 환경에 간섭을.. 통계 2007.05.01
[스크랩] 통계기초지식2: 표본 추출의 기초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random sampling이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우연과 모든 개체가 선택될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어야 하죠. 하지만 가끔 연구 결과를 쉽게 얻기 위해 연구자가 구하기 쉬운 개체를 지정하는 연구자 편의 표집이나 자발적으로 반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 통계 2007.05.01
[스크랩] 통계기초지식3: 표본에서 우리가 얻는 것 표본은 모집단에서 단순무선표집한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표본은 자신을 설명하는 수치를 가지는데 이를 통계량이라 합니다. 모집단의 가지는 수치는 모수라고 하죠^^ 우리는 통계량을 가지고 모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표본의 수(표본에 포함된 개체의 수가 더 바람직한 표현이겠.. 통계 2007.05.01
[스크랩] 표준점수(Z-score)가 머예요? 표준점수는 (원점수-평균)/표준편차 의 공식으로 구합니다. 예를 들어 국어의 점수가 87점이고 평균이 85점, 표준편차가 2이면 표준점수는 +1이 됩니다. 영어의 점수가 90점이고 평균이 93점, 표준편차가 3이면 표준점수는 -1이 됩니다. 이런 경우, 국어가 영어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할 것입니다. 표준.. 통계 200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