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 분석을 하는 기법도 다양합니다. 최초로 고안한 학자의 이름 등을 따서 상관분석의 하위 명칭으로 쓰고 있습니다. 스피어만 기법을 사용할지 피어슨 기법을 사용할지는 비교하는 척도의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교하는 척도가 모두 동간척도(비율척도 포함) 이상이면 피어슨 기법을, 비교하는 척도 중 서열척도가 있으면 스피어만 기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리컬트 척도는 원래 서열척도인데 동간척도로 간주하고 피어슨 기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주의(^*^): 한 번은 어떤 분이 1반에서 7반까지의 집단 구분(명목척도) 변수와 영어 시험 성적(동간척도) 변수의 상관분석을 해오셨던데요(ㅇ.ㅇ). 결과가 '학반이 높을수록 성적이 낮아진다(상관계수=.125, p=.043)'라고 나왔다면서....ㅠ.ㅠ
출처 : 조금씩 채워가는 논문 통계와 해석
글쓴이 : CreatiVSsam 원글보기
메모 :
'통계지식 > 분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관분석은 유의도와 상관계수를 모두 봐야 하나요?ㅜ.ㅜ (0) | 2007.05.01 |
---|---|
[스크랩] 상관분석은 인과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아니다?ㅠ.ㅠ (0) | 2007.05.01 |
[스크랩] 심리학 저널 원문을 보니 F(3,123)=4.356, p=.004라구 나와 있던데요. 무슨 뜻인지? (0) | 2007.05.01 |
[스크랩] 일원분산분석의 예를 보여주세여^*^ (0) | 2007.05.01 |
[스크랩] 사전검사에서 집단간 평균의 동질성을 확보 못했어요ㅜ.ㅜ (0) | 2007.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