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준비
1.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지반조사(추정) N=35이상
2. 말뚝위치 표시
설계도면에 나와 있는 치수대로 말뚝(또는 철근)을 박아 표시한다.
수평실(일종의 중심먹 역활)을 처서 수평실에서 각 치수 확인
3. A와 같이 중심실을 띄워 치수를 검사하거나,B와 같이 말뚝중심을지나는수평실을전부 띄워 치수검사를 할 수 도있다.
4. 현장에 반입된 파일은 검사하여 형상불량, 파손 된 것은 사진을 찍은 뒤 반품 시킨다.
5. 파일은 길이,지름별로 구분하여 적재한다.
시공순서
6. 시공순서 및 CHECK사항
1). 시험말뚝 세움(시항타)
말뚝세움은 말뚝중심을 표시하는 나무멀뚝과 외주위치를 표시하는 Marking과일치하도록 수직으로 매달아서 실시한다.
현장관리자는 말뚝의 접지상황을 확인해서 작업자에게 조언해서 세움정도를 높이도록 한다.
기계조작의 오퍼레이터는 트랜싯 시준자의 지시를 받아 말뚝을 수직으로 세운다.
2개의 트랜싯으로 말뚝세운을 확인해서 박기를 개시한다.
수직체크는 말뚝과 트랜싯2대를 잇는 평면상의 3점이 90도가 되도록한다.
---- 그러나 실제 공사현장에서는 이런방식으로 하면 여러가지 문제(시공속도,경제성)때문에위와 같이 하지 못하고 있다.
2) 장비(오우거)를 이용하여 파일 박을 구멍을 뚫는다.
- 파일 박기 공사는 DROP HAMMER 방식,디젤 햄머방식,제자리 콘크리트 말뚝등여러가지가 있으나
도심의 소음과 관련한 민원 때문에 오우거로 뚫고 파일을 그냥 심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3).오우거를 빼면서 SOIL CEMENT를 넣는다.( soil cement : 0.8포/ M )
4).오우거에 달린 줄로 말뚝(PC)을 매단다.
- 파일을 매달아 올릴때 땅에 있는 단단한 물체등에 파일이 부딪혀 파일이 중파되지 않도록주의한다.
5). 말뚝을 심는다.
- 파일을 심을때 오우거로 뚫으면서 구멍 속에 쏟아부은 쏘일시멘트가 밖으로 분출되지 않도
천천히 심는다. 쏘일시멘트는 PC파일과 함께 엉겨 붙어 부착력을 높여 지지력을 향상
시키는 역활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파일을 확 박아 버리면 소일시멘트가 넘쳐 나와서
B와 같이 되어 파일이 흔들릴 우려가 있다.
6). 적정 침하량이 될때까지 때려 박는다.(침하량 CHECK)
- 파일을 심고 오우거에 장치된 항타기로 파일을 때려 박는다. 처음엔 쑥쑥 들어가다가
어느지점에 가선 잘 들어가지 않고 파일 두부가 깨지기 시작한다.
이때 침하량 측정용지를 대어서 침하량을 측정한다.
@ 파일의 장기 허용지지력 산정
A.말뚝박기 작업의 깊이 1M마다 구간타격 횟수를 확인하면서 박고,예정 심도에서 침하량을 측정한다.
B.침하량(도마리) 측정
7).침하량 및 잔량을 조사한다.
침하량이 보통 2 - 7mm면 좋다.
잔량 파악은 500단위로 미터표시를 해서 잔량을 확인하거나 박힌 파일 옆에 스타프를 대어 잔량을 파악한다.
EX) 파일 길이 : 15m 스타프를 댔을때 파일 끝부분 눈금 : 2m 관입량 : 15 - 2 = 13m 잔량 : 2m
8). 부상토를 걷어낼 level(기초하단 level에서 150밑)을 확인하여 표시해 둔다.
(level확인 요령 참조)
9). 소형 백호우를 이용해 부상토를 걷어낸다.
10).부상토를 제거하면 파일 자르는 장비(일명 찝게)를 이용하여 그 棟의 기초 level에서 적당한
높이(잔다듬하기 좋은)까지 자른다.
- 그 뒤에 기초 하단 level까지 잔다듬해머로 다듬는다.
11). 파일강선을 45도 방향으로 펴고 파일 두부에서 약 60cm남기고 나머지는 자른다.
12). 파일 속에 이물질이 들어 가거나 버림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파일 하나하나에 CAP을 씌운다.
13). 파일이 기초하단 level보다 낮으면 그 부분은 경사를 주어 버림콘크리트타설하고,철근을 배근 한 뒤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통계지식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건축구조 (0) | 2013.12.25 |
---|---|
나무재배방법 (0) | 2012.03.31 |
[스크랩] 건설공사 원가계산 (0) | 2009.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