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제 40회차>
◈ 구 간 : 진고개↔구룡령
◈ 산 행 일 : '09.05.22.~05.23(무박산행)
◈ 인 원 : 백두3기(35명)
◈ 소요시간 : 09시간 50분 (실산행 08시17분, 휴간식 1시간 33분)
◈ 날 씨 : 비후 갬.바람약.조망무.
◈ 산행코스 : 진고개-동대산-차돌배기-두로봉-신배령-만월봉-응복산-마늘봉-약수산-구룡령
◈ 도상거리 : 약 22.0km [진고개-<1.7km>-동대산-<2.7km>-차돌배기-<4.0km>-두로봉-<5.4km>-만월봉-<1.5km>-응복산-<1.9km>-마늘봉-<3.5km>-약수산-<1.3km>-구룡령]
<산행시간 정리>
-01:01 진고개(960m)휴게소. 좌측 도로건너 들머리. 진고개1.7km-동대산-6.6km-두리봉
-01:02 목조계단(입구). 급오름(계단)후 약오름(육산). 안내판
-01:14 이정표. 완만한 약오름(산죽)후 급오름(돌계단).←진고개0.5km,→동대산1.2km
-01:29 바위지대. 목조계단(급오름)후 약오름(육산)
-01:45 이정표(동피골갈림). 약오름(육산). ←진고개1.7km,→동대산30m,↑동피골2.7km
-01;47 동대산(1433m).헬기장. 공터.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2분휴식
-01:59 1423봉(헬기장)소방02-06.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르내림. ←동대산0.6km,→두리봉6.1km
-02:03 폐헬기장. 완만한 약오르내림 능선. ←동대산0.7km,→두리봉6.0km
-02:08 이정표.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동대산1.1km,→두리봉5.6km
-02:11 1405봉. 소방(02-08).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02:19 바위지대. 급오름후 완만한 약오름
-02:23 무명봉. 약내림(일부 급내림)후 약오름
-02:30 1296봉. 약내림후 완만한 약오르내림.
-02:40 안내판. 완만한 약오름
-02:41 차돌배기(1230m). 약오름(일부 급오름)후 완만한 약오름. ←동대산2.7km,→두리봉4.0km
-02:45 고목.소방02-12. 완만한 약오르내림후 약오름
-02:51 무명봉(이정표).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동대산3.1km,→두리봉3.6km
-02:57 이정표. 약오름후 급오름. ←동대산3.5km,→두리봉3.2km
-03:00 헬기장(해발1260m). 약내림후 약오름. ←동대산3.7km,→두리봉3.0km. 6분휴식
-03:11 1234봉. 완만한 약내림
-03:14 소방02-15. 완만한 약오름후 약내림.
-03:20 신선목이,안내판. 약오름후 급오름. 소방02-16(공터,안부)
-03:24 이정표. 급오름후 약오름 ←동대산5.1km,→두리봉1.6km
-03:26 소방02-17.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03:44 무명봉. 좌측 약내림후 약오름(일부 급오름).
-03:49 헬기장(1383봉).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동대산6.1km,→두리봉0.6km
-03:54 이정표. 약내림후 바위지나 완만한 약오름.←동대산6.4km,→두리봉0.3km.
-04:02 이정표(비로봉갈림). 완만한 약오름. ←동대산6.7km,↑비로봉5.7km.
-04:03 감시초소(공원지킴터). 지킴터앞 완만한 약오름. 2분휴식
-04:07 두로봉(1421.9m).헬기장. 넓은공터. 좌측 금지판(목책) 넘어 약내림. 등로주의. 8분휴식
-04:20 주목군락. 잡목숲. 약내림후 완만한 약오름
-04:30 무명봉.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04:41 무명봉.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
-04:49 1234봉. 완만한 약내림후 평지능선지나 약오름.
-05:06 무명봉. 완만한 약내림후 평지능선(약오르내림).
-05:20 고목(고사목). 완만한 약내림(평지능선). 무명봉 우회후 약내림.
-05:32 신배령(이정표). 공터(금지판,차단로프). 급오름후 좌측 약내림 사면등로. 8분휴식
-05:46 1211봉(우회). 좌측 완만한 약내림(일부 산죽)
-05:50 출입금지판. 차단로프 넘어 우측 약오름후 사면 등로
-05:58 이정표. 완만한 약내림. ←두로봉4.2km,→만월봉1.3km,
-06:08 안부. 가파른 급오름(나무 및 목조계단)
-06:15 1210.1봉(우회). 좌측 약내림후 약오름(육산)
-06:17 능선공터. 조망. 우측 약오름(육산)
-06:20 바위지대. 암봉우회. 돌계단 급오름후 약오름(육산)
-06:28 만월봉(1280.9m).안내판.삼각점.약내림. ←두로봉5.4km,→응복산1.5km,↑통마름2.1km.6분휴식
-06:35 이정표(통마름갈림). 완만한 약내림(육산)
-06:41 주목군락.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육산)
-04:45 무명봉. 완만한 약내림(육산)
-04:51 쉼터(긴나무의자). 완만한 약오르내림(육산)
-06:55 급오름(목조.돌계단). 가파른 급오름(목조 및 돌계단)이어짐
-07:08 응복산(1359.6m).삼각점. 공터. 좌측 완만한 약내림후 급내림(나무계단). 중식(25분)
-07:38 명개리갈림. 약오름(일부 바위). ←진고개15.58km.→약수산5.04km,↑명개리1.3km
-07:44 1281봉. 약내림(육산)
-07:46 이정표. 급내림(나무,돌계단)후 평지능선 .←응복산0.69km.→구룡령6.02km,
-08:03 안부(쉼터).벤치. 공터. 약오름(육산). ←응복산1.59km.→구룡령5.12km, 10분휴식
-08:16 이정표. 완만한 약오름. ←응복산 ?km.→구룡령 ?km,
-08:21 마늘봉(1,126.5m).삼각점.의자, 약내림후 완만한 약오르내림.←응복산1.93km.→구룡령4.78km,
-08:27 이정표. 약오름후 가파른 급오름(나무,돌계단)←응복산2.29km.→구룡령4.42km,
-08:46 1261봉(전망). 암봉. 급내림후 완만한 약오르내림.←응복산2.73km.→구룡령3.98km,
-08:54 안부. 완만한 약오름후 급오름(육산)
-09:02 1282봉(쉼터). 공터. 좌측 약내림후 약오름. ←응복산3.39km.→구룡령3.32km, 8분휴식
-09:17 이정표. 완만한 약오름. ←응복산3.85km.→구룡령2.16km,
-09:19 무명봉. 급내림후 약내림(육산)
-09:29 쉼터(나무의자). 가파른 급오름(일부 바위)후 약오름.←응복산4.33km.→구룡령2.8km, 6분휴식
-09:44 이정표. 급오름후 약오르내림. ←응복산4.83km.→약수산0.5km,
-09:46 무명봉. 약내림후 약오름(일부 급오름)
-09:50 무명봉. 약내림후 약오름(일부 급오름)
-09:59 바위전망대(암봉). 도로조망. 좌측 약오르내림후 급오름(나무계단). 3분휴식
-10:06 약수산(1306.2m).삼각점. 케언(동판). 약내림(육산). 9분휴식
-10:16 이정표. 약내림후 가파른 급내림(돌계단).←진고개21km.→약수산 ?km,
-10:23 쉼터(나무의자). 완만한 약오름후 좌측 약오름내림
-10:28 무명봉. 약내림후 약오름
-10:30 1218봉. 약내림후 약오름
-10:33 통나무쉼터. 우측 가파른 급내림(돌계단)후 약내림(산불 고사목지역). 미끄럼주의
-10:43 동물이동통로(이정표). 죄측 약내림(일부 급내림 계단). ←약수산1.0km.→구룡령0.3km,
-10:51 구룡령(1013m). 전시관옆 공원지나. 표주석.
<산행후기>
올들어 5번째 전체적으로 10번째 무박산행이다. 나의 애마를 몰고 청주에 도착하여 대원들과 목적지를 향한다. 어느덧 평창휴게소다. 무척 빨리 온 것 같다. 그리고 김밥으로 조식을 해결하고 나니 평상시 보다 1시간은 빠른 것 같다. 오늘은 지난번 구간보다는 굴곡이 있어 조금 힘들것이라는 것과 큰 봉우리가 5개 또는 큰절이 5개가 있어 오대산이라는 대장님의 설명이다. 잠시후 오늘의 출발지인 진고개에 도착한다. 그런데 약한 바람과 함께 비가 내린다. 큰비가 아니라 다행이다. 지난번에 이어 오늘도 어둠으로 진고개의 참모습을 보지 못해 약간은 아쉽다. 서둘러 산행 준비를 한다.
- 01:01분 진고개(960m) 도로를 건너 안내판이 있는 들머리를 향한다. 처음부터 급오름에 설치된 계단을 오른다. 이정표(←진고개0.5km,→동대산1.2km)를 지나면서 산죽군락을 따라 완만한 약오름이 이어 지더니 이내 돌계단이 설치된 급오름의 연속이다. 한동안을 돌계단과 목조계단을 올라서니 이정표(←진고개1.7km,→동대산30m,↑동피골2.7km)가 있는 동피골 갈림길에 당도한다. 계속하여 약오름 등로를 따라 올라서니 넓은공터에 헬기장이 있는 동대산(1433.5m)정상이다.(07:47)
- 01:49 동대산(1,433.5m) 칠흑같은 어둠과 심한 안개로 주변 확인이 어렵다. 서둘러 동대산을 뒤로하고 목적지를 향한다. 완만한 약내림후 약오름길을 올라서니 이정표(←동대산0.6km,→두리봉6.1km)와 헬기장이 있는 봉우리에 도착하는데 아마도 이곳이 지도상 1423봉으로 여겨진다. 잠시 내려서니 훼손된 헬기장을 지나고 또다른 이정표(←동대산1.1km,→두리봉5.6km)를 지나 내려섰다가 올라서면 소방02-08이 있는 1405봉을 지나 이름모를 무명봉을 지나 올라서면 별로 특징없는 지도상 1296봉을 내려서게 된다. 계속하여 등산안내판을 지나 잠시 올라서면 길바닥에 간헐적으로 차돌조각이 보이는 듯 하더니 커다란 차돌바위가있는 곳에 당도하는데 이정표(←동대산2.7km,→두리봉4.0km)가 이곳이 차돌배기임을 알려 준다.
- 02:41 차돌배기 야간이라 차돌이 눈이 부실 정도로 하얗다. 잠시 급하던 등로가 완만한 약오르내림 등로로 이어진다. 계속하여 이정표(←동대산3.1km,→두리봉3.6km)가 있는 무명봉을 내려섰다가 또다른 이정표(←동대산3.5km,→두리봉3.2km)을 지나 급하게 올라서면 이정표(해발1260m,←동대산3.7km,→두리봉3.0km)가 있는 헬기장에 도착한다. 처음으로 충분한 휴식을 취해본다. 선두 깍두기 대장은 무슨 힘이 좋아 이렇듯 쏜살같이 달리는지.....계속하여 지도상1234봉을 지나 넓은공터에 등산안내판이 있는 신선목이에 도착한다.
- 03:20 신석목이 잠시 완만하던 등로는 급해지고 이정표(←동대산5.1km,→두리봉1.6km)를 지나고 무명봉에 올라 좌측 약내림에 이어 급하게 올라서면 이정표(←동대산6.1km,→두리봉0.6km)와 헬기장이 있는 1,383봉을 지나고 잠시 내려섰다가 올라서면 두로봉이 0.3km 남았다는 이정표를 지나 편안한 등로를 올라서면 오대산(비로봉) 갈림길임을 알려주는 이정표(←동대산6.7km,↑비로봉5.7km.)를 만난다. 조금더 올라서면 공원지킴이 초소앞를 지나고 조금더 가면 헬기장이 있는 두로봉 정상이다.(04:07). 이후부터는 공원통제구역이다.
- 04:15 두로봉(1,421.9m) 서둘러 좌측 금지판이 있는 목책을 넘어선다. 아직도 어둠은 계속되고 안개도 자욱하다. 가늘던 가랑비는 사라진 것 같다. 잠시 후미를 기다리며 출발한다. 어둠속 주목군락지를 내려서고 무명봉 2개정도를 지나 잠시 올라서면 정확히 알수는 없으나 지도상 1234봉을 통과하여 작은 무명봉을 넘어서면 평지같은 능선이 한동안 이어지다가 약간 급한 내림길을 내려서면 넓은평지에 오래된 고사목을 지나 잠시 내려서면 출입금지판이 설치된 신배령이다(05:32). 이곳에서 간단한 간식을 먹으며 휴식을 취해본다.
- 05:40 신배령 이제는 거리상 절반은 넘어선 것 같고 부실한 다리도 달래겸 동료와 함께 느긋한 산행을 하기로 한다. 급오름길을 올라서니 주위에 산죽이 가득하고 다시 잡목이 우거진 능선을 넘으니 내리막에 금지판이 서있다. 로프를 넘어서니 완만한 오르막에 이어 등로는 왼쪽 사면등로로 휘어지며 능선하나를 넘어 서면서 1211봉을 빠져 나오면서 이정표를 지나 안부를 지나면 가파름에 목조계단이 한동안 이어진다. 지금까지 가장 힘든 된비알이다. 1210.1봉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능선공터를 지나 바위지대를 올라서면 삼각점과 안내판이 있는 만월봉(1280.9m) 정상이다.(06:28)
- 06:34 만월봉(1280.9m) 휴식후 응복산을 향하여 출발한다. 잠시 내려서면 통마름 갈림길을 알리는 이정표(←두로봉5.4km,→응복산1.5km,↑통마름2.1km)를 지나고 주목군락지를 지나 무명봉을 내려서면 긴나무의자가 설치된 쉼터를 지나자 가파른 급오름 등로에 목조계단과 돌계단이 번걸아 설치된 된비알이 계속되면서 발걸음을 무겁게 한다. 가쁜 숨을 16분정도 몰아쉬고 나니 삼각점과 정상 표지판이 특이하게 동판으로 제작되어 땅에 묻혀 있는 응복산(1359.6m) 정상에 이른다.(07:08) 오늘 구간중 가장 가파르고 힘든 구간이다.
- 07:33 응복산(1359.6m) 잠시 풀려던 안개와 바람이 다시 심하다. 허기진배에 영양분을 공급하고자 조식을 해결한다. 약간의 취위에 몸이 움추려 든다. 충분한 휴식후 오늘의 목적를 향한다. 5분여 내려서면 명개리 갈림을 알리는 이정표를 지나고 잠시 올라서면 지도상 1281봉에 닿고 잠시 내려서면 이정표를 지나면서 목조계단과 돌계단으로 이루어진 가파른 급내림이 한동안 이어지다가 이정표(←응복산1.59km.→구룡령5.12km)와 벤치가 설치된 쉼터에 도착한다. 계속하여 완만한 약오름 등로를 올라서면 완만한 능선에 이정표(←응복산1.93km.→구룡령4.78km)와 삼각점이 있고 쉼터가 있는 마늘봉(1126.5m) 정상에 도착한다.
- 08:21 마늘봉(1,126.5m) 아무런 표식이 없어 무심코 지나 친다. 완만한 약오르내림길 능선이 이어지다가 이정표(←응복산2.29km.→구룡령4.42km)를 지나면서 가파른 급오름길에 나무와 돌계단이 한동안 이어진다. 헐떡이는 숨을 몰아쉬어 암봉에 올라서니 이곳이 전망좋은 1261봉이다. 급한 바위지대를 내려서면서 등로는 완만해 지고 안부를 지나 잠시 급한 오름길을 올라서면 넓은공터에 이정표(←응복산3.39km.→구룡령3.32km)가 있는 1282봉이다. 이곳에서 대원들과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등로는 좌측으로 크게 휘어지고 무명봉을 내려서면 안부에 이정표(←응복산4.33km.→구룡령2.8km)와 나무의자가 설치된 쉼터에 당도한다. 잠시 휴식후 가파른 급오름 등로를 올라서고 무명봉 2개를 급하게 올라서니 발아래에 구룡령으로 연결되는 구불구불한 56번 지방도가 뱀꼬리처럼 휘어져 우측으로 굽이굽이 구룡령 고개를 올라서는 도로가 시야에 들어 온다. 찌쁘등하던 날씨도 맑게 개고 처음으로 만끽할수 있는 조망이다. 쌓였던 피로가 한꺼번에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다. 계속하여 좌측으로 잠시 올라서니 오늘의 마지막 봉인 약수산(1306.2m)이다.(10:06) 정상에는 케언위에 동판으로 된 표지판과 삼각점이 있다. 느긋한 마음으로 목적지를 향한다.
- 10:15 약수산(1306.2m) 여유있는 기분으로 약수산 출발한다. 가파른 급내림길을 내려서니 나무의자가 설치된 쉼터를 지나 오늘의 끝봉인 1218봉을 내려서고 통나무쉼터에서 우측으로 돌게단이 설치된 가파른 급내림길을 9분여 내려서면 불에 탄 고사목 지대를 지나고 잠시후 동물이동 통로 안내판과 이정표가 있는 능선 좌측으로 내려서고 산림전시관을 지나면 56번 국도가 지나는 구룡령(1013m)이다.
- 10:51 구룡령(1013m) 구룡령에는 이용하지 않는 산림전시관과 주변 소공원이 있으며 커다란 백두대간 표주석이 있다. 선두조에게는 다소 미안하지만 오늘도 인아지아 친구와 중간그릅에서 느긋하고 부담없는 산행을 한것 같다. 역시 산행은 무리없이 줄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앞으로 남은 4번 산행도 오늘처럼 여유로운 산행 찾고자 한다. 오늘 산행끝.
오대산(五臺山)은 불교적 색채가 강한 산으로 동대산(1,433.5m), 두로봉(1,421.9m), 상왕봉(1,491m), 비로봉(1,563.4m), 호령봉(1,531m)의 다섯 개 봉우리를 말한다고 한다.「펌글」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디기의 산행정리(한계령↔마등령) (0) | 2010.05.14 |
---|---|
[스크랩] 대디기의 산행정리(구룡령↔조침령) (0) | 2010.05.14 |
[스크랩] 대디기의 산행정리(진고개↔대관령) (0) | 2010.05.14 |
[스크랩] 대디기의 산행정리(닭목령↔대관령) (0) | 2010.05.14 |
[스크랩] 대디기의 산행정리(삽당령↔닭목령) (0) | 2010.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