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bach 알파계수는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검사한 결과입니다. 신뢰도 분석의 일종이죠. 신뢰도 분석은 논문 및 자료조사에 상용된 검사도구의 신뢰성과 검사 대상자들이 일관되게 응답하였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재검사신뢰도, 반분신뢰도, 동형검사신뢰도, 내적일치도를 구해 신뢰도에 대한 정보를 얻습니다.
Cronbach 알파계수는 영역별 설문항의 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응답자의 수도 영향을 미치죠. 그러므로 알맞은 내용의 문항 수를 가급적 늘이는게 좋겠습니다. 필요없는 문항은 나중에 제거하면 되니까요. 어떻게 제거하냐구요?^&^ 결과를 얻은 후 문항별로 alpha if item deleted 수치를 보면 됩니다. 전체 신뢰도보다 높게 나오면 일단 제거 대상입니다. 주의할 점은 문항 수가 대략 10문항 이하이면 제거하기에 쪼~금 신경을 쓰셔야 할 것입니다.
사회과학 연구에 사용될 (설)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계수를 보고 .80 이상이면 사용에 무리가 없습니다. .90이상이면 더욱 좋죠. .70이하이면 사용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70~.80이면 신중히 생각해 보셔야 할 듯 합니다.
출처 : 조금씩 채워가는 논문 통계와 해석
글쓴이 : CreatiVSsam 원글보기
메모 :
'통계지식 > 분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독립표본 t-검증 결과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0) | 2007.05.01 |
---|---|
[스크랩] 대응표본 t-검증은 어떻게 분석해요? (0) | 2007.05.01 |
[스크랩] 상관분석은 유의도와 상관계수를 모두 봐야 하나요?ㅜ.ㅜ (0) | 2007.05.01 |
[스크랩] 상관분석은 인과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아니다?ㅠ.ㅠ (0) | 2007.05.01 |
[스크랩] 상관분석에서 Spearman과 Pearson 기법의 차이점이 뭐죠? (0) | 2007.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