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지식/분석사례

[스크랩] 자유도가 분석 기법마다 다르네요ㅜ.ㅜ

정령치 홍 2007. 5. 1. 16:48

  일반적으로 자유도(degree of freedom; df)독자적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례가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값이라 했죠. 100명 중 99명의 값을 알면 1명의 값은 자동적으로 결정되므로 일반적 자유도는 N-1의 공식으로 결정됩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몇 가지 분석 기법의 자유도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test: N-1입니다. 전체 사례수에서 1을 빼면 되죠.

 F-검증(ANOVA; 분산분석이라고 하죠): 이 분석은 자유도가 두 가지입니다. 집단간 자유도와 집단내 자유도가 있죠. 집단간 자유도는 집단수-1, 집단내 자유도는 N-집단수 입니다.

 카이스퀘어 분석: 이 분석은 자유도가 사례 수가 아니라 셀의 수이기 때문에 전체 사례 수에서 1을 빼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 정보를 가지는 가로축 셀의 수와 세로축 셀의 수로 계산합니다. 즉 (가로축 셀 수-1)*(세로축 셀 수-1)입니다.

출처 : 조금씩 채워가는 논문 통계와 해석
글쓴이 : CreatiVSsam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