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protection level이니 뭐니 머리만 아프죠 머. 다 버리시고 Scheffe와 Duncan, Tukey 기법만 생각하세요.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ANOVA에서 사후검증으로 Scheffe나 Duncan 기법을 사용합니다. 대학(원)마다 과마다 선호하는 기법이 있습니다. 둘 사이의 차이점은 Scheffe 기법(실험 오류율 관리도 제일 깔끔함)이 Duncan 기법보다 조금 까탈스럽다고 할까요=^^= Duncan 기법은 Scheffe 기법보다 유의도를 유의수준내에 들도록 잘 줍니다. Tukey 기법은 앞의 두 기법의 차이와는 별개로 분산분석에서 비교되는 집단의 사례수가 동일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세 집단의 평균차 비교에서 세 집단의 피험자가 모두 30명씩으로 동일할 때는 앞의 두 방방법보다는 Tukey 기법을 사용하여 사후분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럼 집단의 사례 수가 다를 경우에는 앞의 두 기법 중 입맛에 맞는 것을 사용하면 되겠죠?^*^
출처 : 조금씩 채워가는 논문 통계와 해석
글쓴이 : CreatiVSsam 원글보기
메모 :
'통계지식 > 분석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유도가 분석 기법마다 다르네요ㅜ.ㅜ (0) | 2007.05.01 |
---|---|
[스크랩] t값이 마이너스(-)가 나와요. (0) | 2007.05.01 |
[스크랩] 표안에 유의도 옆에 붙이는 별모양(asterisk; *)는 뭐예요? (0) | 2007.05.01 |
[스크랩] Levene-F 검증이 있던데요 머예요?*^^* (0) | 2007.05.01 |
[스크랩]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카이스퀘어 분석의 차이점? (0) | 2007.05.01 |